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중국
- xdg-open
- 손 발이 차가운 아이
- Post
- technical framework
- 마녀정원
- keytools
- 기술 프레임워크
- SQL Server
- 벤타 청소
- Remote Desktop Manager
- full stack
- 컬럼명 찾기
- 파라미터
- IQAir
- lazy-loading
- 쇠구슬 소리
- 타이레놀 ADHD
- dns-prefetch
- ssh 웹사이트 열기
- x509
- JBoss
- 검색 운영
- 윈도우
- ECU 업그레이드
- 주문 거절
- 사용공간
- root 경로 변경
- keyAlias
- mybatis
- Today
- Total
목록개발 (31)
Collective Intelligence
알리바바가 운영중인 쇼핑몰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사이트는 타오바오(taobao.com) 이라고 할 수 있다.타오바오는 C2C 기반으로 가짜 물건을 올리는 사람이 많아서 문제가 되기도 하지만 여전히 많은 중국인들이 사용하고 있다. (가짜 문제로 tmall.com이라는 알리바바의 B2C 사이트도 타오바오와 연결이 되어 있기도 하다.) 어쨌든 쌍십절이라고 하는 중국 국경일에는 타오바오의 트래픽이 어마어마하게 늘어난다.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는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수많은 사람들이 쇼핑몰을 이용하고 수량의 제한 때문에 다들 장바구니에 상품들을 담아뒀다가 12시 땡하자 마자 결제를 하기 때문에 대용량 시스템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나 중국에서 크게(?) 사업을 해보고 싶은 사람은 관심을..
중국 웹서비스 준비를 하면서 한국처럼 인터넷 인프라가 좋지도 않으면서땅은 또 수십배 큰 중국 전역에 어떻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할 수 있을까 항상 고민을 하게 된다. 서버 배치도 골치가 아프고, 페이지 자체 로딩도 한국처럼 이것저것 다 붙여 놓으면 로딩 속도가 느려서 문제가 많다. 그래서 우리 회사의 메인페이지와, 타오바오나 진둥 같이 중국 메이저 쇼핑몰 메인 페이지를 비교하기 시작했다.(상품 상세는 걔들도 페이지뷰가 높은 것들은 빨리 뜨고, 아닌것들은 이미지가 안뜰 때가 있으니 비슷하다고 보고...) 1. Lazy Loading 사용과 가벼운 메인 페이지 중국 대부분의 쇼핑몰이 lazy loading 방식의 사용으로 보이는 부분만 로딩하고, 나머지는 스크롤 이동시 보이게 하는 방식인데,제일 큰 문제는 메..
개발하다보면 특정 컬럼이 어떤 테이블에 들어있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테이블이 너무 많아서 하나하나 찾기도 힘들고 할 때 간단하게 like 검색 하는 방법이 있다. SELECT a.name AS ColName, b.name AS TableName FROM sys.columns a JOIN sys.tables b ON a.object_id = b.object_id WHERE a.name LIKE '%columnName%'
가정이나 업무용 PC를 사용하다 보면 어느샌가 용량이 부족할 때가 많다. 특히 요즘에는 SSD를 많이 사용하는데 시간이 좀 지나다 보면 userdata 이런곳에 나도 모르게 파일들이 마구잡이로 자리를 차지해서 정리를 하고 싶은데 경로를 일일이 찾아다니기도 힘들고... 이럴 때 SpaceSniffer를 사용하면 한눈에 이런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다운로드 : SpaceSniffer Portable Version 다운받은 후에 폴더를 열어 위의 파일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윈도우 시스템 폴더같은 경우 프로그램이 하드디스크 스캔중에 권한이 없어서 어떤 폴더는 확인할 수 없다고 에러가 뜨는걸 방지), 그러면 타일형식의 UI로 내 컴퓨터에 있는 폴더, 파일들이 용량을 얼마나 차..
한국에서의 개발자는 참으로 힘든 직업 중의 하나이다. 공장의 기계도 아니고 많이 돌리면 많은걸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 오너들이 아직도 많고 최근들어 야근을 줄이는 회사도 많지만 정확한 스케줄에 맞춰서 작업을 하기란 정말 힘들고, 개발자 자체가 야근을 하려고 하는 사람이 아직도 많다. 나도 초급 개발자였을 때는 선배들이 야근을 해야 많이 배운다고 했다. 그때는 일정을 맞추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야근을 해야 하는 경우도 많았고, 실제로 야근을 하면서 많이 배우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 생활이 반복되다 보니 이게 정말 효율적인지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고, 나를 돌아보기 시작했다. 하루에 내가 실제 집중적으로 일하는 시간은 얼마나 되는지, 어떤 상황에서 일이 더 잘 되는지 등에 대해서 말이다. 나는 급한 일이..
중국에서 사업을 하려고 최초에는 중국 파트너사가 꽌시를 갖고 있는 북경 쪽에 IDC를 이용했다. 문제는 여러 고객이 한 랙을 쓰는지 한 고객의 서버가 상태가 안좋거나 죽어버리면 그 랙 전체가 영향을 받는 기현상이 ㅡㅡ;; 더 큰 문제는 한국 서버에서 이미지라던지 데이터를 (결코 무겁지 않은) 가져오는 부분이 있었는데 만리장성이라는 방화벽 때문에 이유없이 연결이 끊어지고 주말에는 심각하게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해서 웹서비스를 하는데 진짜 대책이 없었다. 그래서 일단 중국 IDC로 데이터를 다 옮겨오게 되었고 중국의 대형 사이트들을 다 분석해서 메인페이지 로딩을 최적화 시켰다. 우리 나라는 메인페이지 용량이 몇메가 이런건 신경도 안썼는데 중국은 인터넷 속도 느리고 모바일도 많이 쓰기 때문에 정말 중요한 요소가..
요즘 IT 분야 채용 공고를 보면 풀 스택(Full-Stack) 이나 개발 스택을 요구하는 회사가 많이 있다. 개발 스택이야 보면서 쉽게 어떤 개발을 , 어떤 툴이나 언어를 이용해서 해봤냐를 말하는 것 같은데 풀 스택은 뭐 이것저것 다 할 줄 아는 개발자를 말하는 것인가? 기준이라는건 없는 것인가? 싶어서 찾아보았다. 일단 정의를 찾아보면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모든 단계(Stage)에 전문화된 지식이 있는 개발자를 말하며, 능숙해야 한다고 하는데 각각의 단계는 아래와 같다. ● 서버, 네트웍, 호스팅 환경 ● 관계형 / 비관계형 DB ● API와 외부 환경을 어떻게 연결 할 것인지 ● UI / UX ● QA ●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보안 ● 고객과 사업의 요구사항에 대한 이해 구글에서 다른 글들을 찾아보..
모델 클래스 자체를 json으로 변형시키려면 codehaus.jackson 의 ObjectMapper를 사용중이다. maven을 기준으로 pom파일에 jackson을 추가한다. org.codehaus.jackson jackson-mapper-asl 1.9.13 그리고 나선 신나게 쓰면 된다.json에 반복되는 key-value가 있으면 모델 클래스 안에 Map이나 List로 선언을 하면 이것도 알아서 변환해줘서 편리하다. public String toJson (Result result) {ObjectMapper mapper = new ObjectMapper();String jsonSTring; try { jsonString = mapper.writeValueAsString(result); } catch ..
jBoss 서버를 띄우면 DB recovery 한답시고 주구장창 올라오는 로그가 있다. 운영하는데 별 필요도 없고 해서 지우기로 했는데... 예전의 jBoss는 로그 설정파일이 따로 있었던 것 같은데 6.3은 보니깐 standalone.xml 에 로그 설정이 들어 있었다. 지우고 싶었던 로그는 Start expire session...로 시작하는것과 Send recover request for transaction .... 로 시작하는 두가지였다. 이래저래 찾다가 그냥 필터를 적용시켜서 막기로 했다. 뭐 좀 불합리한 방법이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많이들 쓰는 방법이기도 한 것 같고... jBoss를 다른 서버에 설치할 때도 개별 설정들을 될수있으면 한 파일에 몰아두는게 관리도 더 편하지 않을까 싶기도 해서다..
JAVA로 만든 어플리케이션에 DB는 SQL Server를 쓰는 서버를 jBoss에 deploy 하다보니 설정해줄 것이 좀 더 있었다. 무심코 war만 올려서 돌렸더니 DB 접속이 되다가 안되다가 이상해서 알아보니 SQL Server를 쓸 경우에는 따로 jdbc 라이브러리를 업로드 해야 한다. 일단 사용하는 sqljdbcxx.jar 파일을 받은 다음에 아래 경로로 이동한다. jBoss_HOME/modules/system/layers/base/com 여기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은 폴더들이 있다. (sqlserver 폴더는 만들어야 할 폴더이다.) 여기서 h2database폴더를 카피해서 sqlserver라는 이름으로 바꾼다. 그리고 sqlserver 폴더로 들어가면 h2라는 폴더가 있는데 그 폴더 안에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