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technical framework
- Remote Desktop Manager
- keyAlias
- 중국
- 기술 프레임워크
- 파라미터
- 쇠구슬 소리
- 컬럼명 찾기
- ssh 웹사이트 열기
- 주문 거절
- ECU 업그레이드
- 마녀정원
- 벤타 청소
- IQAir
- JBoss
- mybatis
- 사용공간
- Post
- root 경로 변경
- xdg-open
- full stack
- lazy-loading
- x509
- 타이레놀 ADHD
- keytools
- SQL Server
- 윈도우
- 검색 운영
- dns-prefetch
- 손 발이 차가운 아이
- Today
- Total
Collective Intelligence
중국에서의 서버 및 네트워크 구성 본문
중국에서 사업을 하려고 최초에는 중국 파트너사가 꽌시를 갖고 있는 북경 쪽에 IDC를 이용했다.
문제는 여러 고객이 한 랙을 쓰는지 한 고객의 서버가 상태가 안좋거나 죽어버리면 그 랙 전체가 영향을 받는 기현상이 ㅡㅡ;;
더 큰 문제는 한국 서버에서 이미지라던지 데이터를 (결코 무겁지 않은) 가져오는 부분이 있었는데
만리장성이라는 방화벽 때문에 이유없이 연결이 끊어지고 주말에는 심각하게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해서
웹서비스를 하는데 진짜 대책이 없었다.
그래서 일단 중국 IDC로 데이터를 다 옮겨오게 되었고 중국의 대형 사이트들을 다 분석해서 메인페이지 로딩을 최적화 시켰다.
우리 나라는 메인페이지 용량이 몇메가 이런건 신경도 안썼는데 중국은 인터넷 속도 느리고 모바일도 많이 쓰기 때문에
정말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그래서 lazy loading과 이미지는 CDN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구조를 따르고,
google에서 제공하는 API들을 모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로컬로 가져오는 등 모든 페이지에 대해서 최적화를 시키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 IDC 문제가 남아 있었다.
한국에서는 AWS를 쓰거나 IDC 업체 아무거나 써도 서비스는 문제가 없었다. 땅도 작고 인프라가 워낙 좋으니...
중국은 일단 남북으로 나눠서 각기 다른 회사가 회선 서비스를 하고 있어 속도 저하가 한 번 일어난다.
(선전에서 북경 IDC로 traceroute를 때려보면중간에 provider가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거기에다가 광활한 영토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해야하니 그걸 커버하는 IDC 업체를 찾아야 했는데
최초 계약한 IDC는 규모가 작아서인지 몰라도 속도는 진짜 죽도록 느렸고, 더 무서운건 한번씩 해커의 공격을 받아
서버가 먹통이 되어 OS 재설치 외에는 방법이 없었다. 이렇게 주기적으로(?) 재설치를 해야하니 서비스를 할 상황이 아니지 않은가...
일단 IDC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에서 사용해봤던 AWS를 찾아봤는데 중국에는 아직 시범 서비스를 하고 있고,
MS Azure도 알아봤는데 둘 다 계약을 해야하고 따로 계정을 받아야 했다. 중국이라는 곳의 특성상 소스의 보안 때문에
외국 회사를 알아봤는데 이런 과정이 좀 석연치 않았다. 게다가 속도와 안정성도 보장하지 못한다고 한다...
그래서 우선 AWS의 경우 일본과 싱가폴에 있는 region을 이용해 속도 테스트를 실시했다.
그런데 해외라서 그런지 정말 느렸다(주말에는 더 느리다!). 역시 서비스를 하기에는 무리였다.
CDNetworks도 알아봤다. 한국에서 계약이 가능하고, 중국 내에 엣지 서버도 많아서
살짝 기대를 했었는데 한국과 중국의 통신 속도는 여전히 장담하지 못한다고 해서 멘붕에 빠졌다...
결국엔 다시 중국 IDC를 찾아보기로 결정했고, 중국 전신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기로 했다.
속도도 안정적으로 나왔고, 중국 남북간 속도도 괜찮았고, 전국 커버리지도 좋았다.
하지만 만일 돈이 밀리게 되면 그냥 서버가 날라간다는 사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통신은 홍콩을 경유해서 하기로 하고 홍콩 현지의 한국 업체를 계약했다.
(중국과 홍콩은 그래도 같은 나라라고 속도가 괜찮으니깐)
역시 문제는 한동안 없었는데 중국 <-> 홍콩 통신에서 뜬금없이 연결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
이유는 알 수 없고... 홍콩 IDC에서 회선 조정을 해서 문제가 해결이 됐는데 여전히 불안하다....
중국에서 웹 서비스는 중국에서 끝내야 하는 게 좋은데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서는
타국가와 통신이 원활해야 하는데 참 어렵다. 국내에서는 아무 걱정이 없던 문제들을 마주하면서
우리 웹서비스도 발전하고, 개인적으로 경험도 많이 하고... 그런 것 같다.
'개발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1위 쇼핑몰 타오바오 (Taobao) 프레임워크 분석자료 (0) | 2016.04.26 |
---|---|
[중국 쇼핑몰 분석] dns-prefetch (0) | 2016.04.22 |